top of page
앞표지.jpg

한국의 교회건축

역사.전례.양식으로 본

 

지은이    김 정 신

옮긴이    

사    양    반양장    174x230    304쪽

ISBN       978-89-85493-57-4

정    가   20,000원

Anchor 3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민족과 국가는 고유의 건축물이 그 문화의 척도였으며, 건축은 ‘문화적 유산과 자산’으로 볼 수 있다. 건축이라는 인류의 문화유산 중에서도 종교건축에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 시대 최고의 건축가들과 장인들의 시대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220여년 전에 전래된 그리스도교는 초기에는 혹독한 박해를 받았지만 불교, 유교와 함께 공존하면서 세계에 유래가 없을 만큼 성장하였다. 개항기, 일제강점기, 전란, 격동기의 어려운 시대에도 훌륭한 교회당이 지어졌고, 그 중에는 근대기 건축문화유산으로 지정되거나 등록되었다.

하지만 최근 30년 동안 지어진 교회당 중 정말 종교적이며, 그리스도교적이고, 한국적인 현대 교회당은 몇 개나 될까, 우리 시대에 맞는 교회건축을 지으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시기가 왔다. 종교건축이라고 해서 현대 건축조류를 외면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지나온 역사와 유산, 신앙의 원천인 전례가 바탕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 책의 1부인 ‘찬란한 신앙의 유산’에서는 문화재로 지정·등록된 교회건축물 중 대표적인 유산을 사진과 함께 건축적·역사적 가치를, 2부인 ‘한국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교회건축의 발전’에서는 한국 교회건축이 걸어온 100년 간의 변천사를, 3부인 ‘종파별 전례와 건축양식’에서는 천주교, 정교회, 개신교, 성공회 등 각 종파별 예배의식, 특징, 전통에 대해 새겨보았다.

Anchor 4

추천사

머리말

 

하나, 찬란한 신앙의 유산, 천주교

명동성당/약현성당과 서소문 순교터/용산신학교와 예수성심성당/대구 계산동성당/나바위성당/전동성당/답동성당/양화나루 잠두봉 유적과 절두산성당/되재성당지와 공소/풍수원성당/진안 어은 공소/장수 수분 공소/용소막성당/아산 공세리성당/안성 구포동성당/칠곡 가실성당/당진 합덕성당/음성 감곡성당/서산 상홍리 공소/서산 동문동성당/진주 문산성당/춘천 죽림동성당/홍천성당/춘천 소양로성당/혜화동성당

 

개신교

정동제일교회/금산교회/강화서도 중앙교회/구세군중앙회관/대구제일교회/강경 북옥감리교회

 

성공회

대한성공회 강화성당/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대한성공회 수동성당

 

둘, 한국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교회건축의 발전

그리스도교의 전래와 수용/천주교의 창설과 박해/초기 교회의 예배집회/신교자유와 교회의 발전/개신교의 전래와 성장/초기 한옥 교회건축/서양식 교회건축의 수용과 변용/20세기 현대 교회건축의 배경-전례운동과 성미술운동근대 교회건축의 발전/현대 교회건축의 흐름과 전망

 

셋, 종파별 전례와 건축양식

천주교/정교회/개신교/교회건축과 전례공간의 배열

 

부록

교회 건축 문화유산 목록

교회 상징 및 교회 건축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Anchor 5

1952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가톨릭 성당건축의 수용과 변천과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해군본부 시설감실과 한국환경설계연구소에서 실무를 익히고, 영국 Bath대학(1990년), 일본 京都대학(1997년 단기)에서 연수하였다.

1980년부터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회건축과 한국근대건축사, 문화유산보존에 대한 작품과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작품으로는 영암시종공소(1998), 약현성당 복원(2000), 북한 KEDO종교동(2001), 송현성당(2004) 등이 있고, 가톨릭미술상(2005), 대한건축학회 특별상 남파상(2005), 소우 저작상(2009), 한국건축역사학회 송현논문상(2011)을 수상하였으며, 문화재청과 서울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bottom of page